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자기계발6

더 빠르게 실패하기 (실패를 줄이는 방법) : 존 크럼볼츠, 라이언 바비노 실패라는 단어가 주는 거부감처세술, 자기 계발 책이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적어도 나에겐 2022년부터 시작해서 지금 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 같다. 소위 갓생, 미라클 모닝등의 단어가 나온 것도 그쯤이라 생각된다. 그 흐름에 편승해서 많은 자기 계발 책을 읽었다. 그 이후 좀처럼 손이 가지 않았던 유형의 책이었는데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마인드셋을 다시 잡기 위해 책을 읽었다. 책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역설적이게도 빠르고 많은 실패를 통해 실패를 줄이는 것이며 그 출발은 실패라는 단어의 거부감을 줄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실패의 긍정적 가치저자들은 실패를 "두려워해야 할 것이 아니라 환영해야 할 경험"으로 바라본다. 실패를 통해 얻는 피드백은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발견하거나 더 나은 방향으.. 2024. 12. 4.
타이탄의 도구들 (성공하는 습관) : 팀 페리스 타이탄이 된 사람들 타이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족인 Titan (티탄)의 영어발음이다. 책에서는 본인의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티탄이라고 일컫는다. 사실 그들은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다만 그들이 성공할 때까지 지켜왔던 일종의 습관, 루틴, 마음가짐이 있었다. 이런 것들이 그들을 타이탄으로 만들었고 그것이 바로 타이탄의 도구들이다. 사실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만큼 성공에 가까워지는 일도 없다. 그 방법이 나에게 맞으면 너무나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하나의 방법을 제거할 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음으로써 이러한 경험을 한 번에 많이 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이 책이 갖는 매력이다. 유용한 도구들 이 책의 제목은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아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 2023. 1. 6.
김상욱의 과학공부 : 김상욱 오랜만에 과학책 오랜만에 책을 읽었다. 사실 비행기에서 읽기 위해 흥미로운 책을 읽고 싶었는데 소설을 읽을까 고민하다가 스토리가 있는 책은 읽고 싶지 않았다. 그렇다면 뭐가 재밌을까 생각하다가 과학 유튜브를 재밌게 봤던 생각이 나서 과학책을 찾아보다가 이 책을 발견했다. 김상욱 박사님을 여러 매체에서 자주 접했던 터라 거부감도 없었고 쉽게 설명하는 모습이 기억에 남았다. 그렇게 설레는 마음으로 첫 장을 열었다. 우리는 과학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김상욱 작가는 책의 첫 부분에 이렇게 말한다. 기자들이 과학자를 찾아오면, 질문은 대개 비슷한 요청으로 시작된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과학기사의 주된 독자가 초등학생일 리는 없다. 이런 요청에도 독자들의 과학지식수준이 초등학생 정도일.. 2022. 12. 3.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제임스 클리어 언제나 결심을 하는 우리 새해 목표를 설정하던 때가 무색하게 달력은 어느새 11월을 앞두고 있다. 모두들 2022년 계획은 잘 진행되고 있을까? 나는 그렇지 않다. 계획이 너무 많고 어렵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시도라도 해보고 이런 말을 해야 한다. 나는 매일 하겠다는 운동을 하지도 책을 읽고 글을 주기적으로 쓰겠다는 약속도 잘 지키지 못했다. 그렇다면 나는 왜 계획을 지키는데 서툴며 어떻게 해야 2023년에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을까? 매일 1%의 힘 우리는 초등학교 때 수평과 수직의 개념에 대해서 배운다. 수평은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여 만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빠지지 않는 부연 설명이 있는데 바로 어느 한 직선이 조금만 틀어져도 두 직선은 언젠가 교차하여 결국 다른.. 2022. 10. 2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