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이야기/책 이야기

생각에 관한 생각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 : 대니얼 카너먼

by 독서하는 나그네 2025. 1. 2.
반응형
SMALL

생각에 관한 생각

생각의 작동 원리

우리는 많은 생각을 한다. 점심으로 뭘 먹을지 오후엔 무슨 일을 할지 어떤 책을 읽을지와 같은 생각들 말이다. 나는 이런 생각들을 하면서 의심을 하지 않는다. 내가 생각한 일이니까.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고 판단할 때 오류가 있다면 어떨까? 가끔 내가 하는 생각들이 합리적이지 않고 우리의 목표에 반하는 결정을 한다면 어떨까? 그렇다면 그 이유는 뭘까? 이 책은 심리학자인 대니얼 카너먼이 생각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작동 원리를 제시하여 우리의 행동패턴을 파악한 책이다. 선택, 소비, 판단, 업무 등을 행할 때 우리가 하는 생각에 관한 생각을 정리했다.

시스템 1과 시스템 2

저자는 우리가 생각하고 판단할 때 사용하는 뇌의 영역이 다르다고 주장하고 이들을 각각 시스템 1과 시스템 2라고 명명했다. 시스템 1은 우리가 직관적인 판단을 할 때 사용하며 그 예로 1+1=2라는 가벼운 산수문제를 계산하거나 두개의 선 중 어떤 선이 길고 짧은지 판단할 때 쓰인다. 시스템 2는 좀 더 복잡한 과정에서 쓰이는 데 18 x 24 =? 같은 문제를 계산하거나 글을 읽는 행위 등에 쓰인다. 이 시스템들 사이에는 선형적인 관계로 이뤄지는데 먼저 시스템 1로 가벼운 판단을 한 후 시스템 2가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실수를 한다. 다음 예시를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미국에 사는 어떤 남자는 성격이 꼼꼼하고 차분하며 남을 돕는 것을 좋아한다. 지금 이 남자는 커피를 마시며 신문을 읽고 있다. 그렇다면 다음 중 이 남자의 직업은 무엇일까? 

 

A. 농부 B. 사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람이 사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봤을 때 미국에는 사서보다 농부가 훨씬 많다. 이처럼 우리는 주어진 정보들을 시스템 1을 통해 직관으로 판단한 후 시스템 2가 나름의 논리를 구성해 결론을 내린다. 충분한 정보와 시간이 주어지면 우리는 오류를 범하지 않지만 그렇게 해야 할 이유를 느끼지 않으면 오류를 범하기 쉽다. 더 최악의 상황은 충분한 시간과 정보가 주어졌음에도 실수를 하는 경향이 있는데 오전 시간대 판사의 가석방률보다 점심 직후의 가석방률이 더 높다고 한다. 이 두 가지 시스템들은 시간과 정보뿐만 아니라 사회적 배경, 인식, 당사자의 기분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 책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앵커링 효과, 후광효과, 평균회귀의 법칙등을 이유로 설명한다. 책에서는 아주 많은 이론들이 등장한다.

행동경제학의 시작

이 처럼 우리는 합리적인 것처럼 보이는 생각을 통해 많은 분야에서 오류를 범해왔고 경제학 부분도 예외는 아니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고전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합리적인 개인'이다. 시장논리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고, 거래가 발생하고, 기업들이 활동을 한다. 투입대비 산출양이 있으면 즉, 양의 값이면 우리는 행동하는 게 맞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사회현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두 명에게 10달러를 나눠 갖는다고 할 때 A가 금액을 나눌 수 있는 권한이 있고 B는 거래를 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전 경제학의 관점에서는 A가  9대 1의 비율로 돈을 나누더라도 B는 이득이기 때문에 거래를 해야 하지만 실험 결과 그렇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단순히 괘씸해서 라는 이유다. 이처럼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다. 이것이 행동경제학의 출발점이고 더 깊은 얘기들을 책에서 다루고 있다.

줄이며

이 책은 재밌지만 조금은 어렵다. 이 책과 궤를 같이하는 책 중에 <넛지>라는 책이 있는데 비교적 알기 쉽고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많이 보여준다. 그럼에도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심리학적, 뇌과학적 영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생에서 범할 수 있는 인지적 오류를 줄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 초석이 될 좋은 책이다. 다만 알면서도 실천하기 어렵다는 것을 저자도 알고 있다고 한다. 너무 좌절 하진 말자.

반응형
LIST

댓글